| 영상 날짜 | 2025-10-27 |
|---|---|
| 출처 | 조선일보 머니 |
몰입도가 매우 높은 강의로 느꼈습니다.
요즘 사람들이 왜 새 아파트를 찾고 상급지를 찾게 되는지에 관한 설명에 공감이 갑니다.
---------------------------------------
⚡AI가 꼽은 핵심 내용
명지대학교 박정호 교수가 진단하는 한국 부동산 시장의 핵심과 미래 전략입니다.
현 정부의 '6억 대출 제한' 규제는 유예기간도 없이 시행되어 시장을 '현금 부자만의 리그'로 만들었습니다. 박 교수는 이로 인해 시장이 '규제는 일시적'이라는 학습을 하게 됐고, 규제가 잠시 풀릴 때마다 집값이 폭등하는 불안정한 패턴이 반복될 것이라 경고합니다.
박 교수는 진정한 해법이 수요 억제가 아닌 '의미 있는 공급'에 있다고 강조합니다. 특히 1970년대(국민소득 1000불 시대)에 지어진 아파트는 현재의 눈높이에 맞지 않기에, 양질의 신축 공급(재건축·재개발)이 필수적이라고 말합니다.
또한 '인구 감소로 집값이 하락할 것'이라는 통념을 반박합니다. 출산율이 가장 낮은 서울의 집값이 가장 많이 오르는 이유는, 지방 인구가 서울로 끊임없이 유입되는 '사회적 이주' 때문입니다. (일본 도쿄 사례 언급)
오히려 강력한 규제가 서울과 지방의 격차를 돌이킬 수 없이 벌려놓아, 지방 자산가들마저 서울로 이동하려는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마지막으로 내 집 마련은 주식 투자와 달리 '사용 가치(내 가족이 살기 좋은 곳)'를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며, 이것이 결국 투자 가치로 이어진다고 조언합니다.
*촬영일: 2025.08.29
🎥타임라인
00:00 오프닝
00:09 이재명 정권의 부동산 규제 정책
3:16 부동산 규제와 시장의 향방 전망
6:01 서울 아파트 불패 신화의 미래
10:08 내 집 마련 시 ‘투자’와 ‘실거주’ 중 무엇을 우선해야 할까?
14:41 내 집 마련 및 부동산 투자에 대한 조언
17:21 아파트 자산가치 수익률에 대한 전망
19:48 인구 감소가 서울 집값에 미치는 영향
21:58 해외 사례로 본 인구 감소와 집값
23:32 심화되는 지방 부동산 양극화 현상
26:55 초고령 사회, 노년층의 부동산 이동
30:27 서울 아파트의 상징성과 양극화 해소 방안
32:48 재개발·재건축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37:08 '부동의 1위' 강남, 그 위상은 지속될까?
39:21 마용성 그다음 유망 지역
42:42 서울 동남권의 힘
44:34 도시의 변화를 읽는 방법
49:05 연예인과 부동산
52:51 학군 수요의 양극화